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축제인 게시물 표시

(홍천) 아이와 함께 즐기는 '2023 홍천 사과축제 ' (날짜, 위치, 주차장)

10월에서 11월 사이가 되면 전국에서 사과로 유명한 산지에서는 사과축제가 열립니다. 특히 강원도에서는 유일하게 홍천에서 사과축제가 열립니다. 비교적 사과는 서늘한 기후를 선호하기 때문에 늦은 가을에 수확이 시작되며 보기만 해도 달달한 사과를 맛볼 수 있습니다. 맛있는 사과와 함께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홍천의 사과 축제를 함께 나누어보아요.       홍천 사과축제 정보  ▶행사 안내 홈페이지 축제 일자 2023년 11월 3일(금) ~ 5일(일)   축제 위치 도시산림공원 토리숲 (홍천읍 갈마곡리 501)   주차장 1. 토리숲 들어가기전 1 주차장 2. 토리숲에서 왼쪽에 청소년수련관 쪽 도로에 마련된 주차장 3. 아산병원 정문 쪽의 강변에 마련되어 있는 주차장길 *생각보다 홍천은 촌이라서 주차에 대해서 관대한 편입니다. 다른 차량의 흐름에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세우시면 괜찮습니다.  축제 프로그램 사과길게깍기 예전에 사과를 길게 잘 깍으면 시집 잘간다고 했는데 모두 한 실력하시네요. 사과빨리먹기 쥬르릅 사과즙을 흘리며 누가 누가 맛나게 빨리 먹나. 사과따기 사과 따기 팔도 제일 선수 등장 애플콘서트 어느게 사과고 어느분이 사람인지 영 모르겠네요   홍천 사과축제 팁! 홍천 사과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두시면 좋을 만한 정보를 드려요! 홍천에는 해발 1천미터 지역에서 다양한 품종의 사과가 재배되고 있습니다. 간단히 품종에 대한 소개와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최상의 사과를 구매하실 수 있어요. 홍로 한국에서 가장 널리 재배되는 사과 품종 중 하나로 크기가 크고 맛이 달면서 적당한 신맛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선호합니다. 겉껍질은 붉은색으로 빛나며, 과육은 백색입니다. 아리수 아리수는 한국의 특산품으로, 경북 청송에서 주로 재배됩니다. 아리수의 가장 큰 특징은 진하고 독특한 향입니다. 또한 과육이 탄탄하며 단맛이 강해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시나노골드 일본 나가노현에서 개발된...

2023 여의도불꽃축제 처음 방문자를 위한 꿀팁 (+놓치면 후회막심)

올해에도 어김없이 여의도에서 서울세계불꽃축제가 열립니다. 참가국가가 대한민국 포함 3개국이라 아쉬움이 없지 않았지만 1시간 반동안이라는 짧지 않은 시간동안 화려한 불꽃쇼를 볼 수 있습니다. 직접 방문한 적 없는 분들을 위한 꿀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놓치지 마세요!        목차 1. 이벤트 2. 명당 3. 온라인 관람   이벤트   해당 트라이브 앱을 다운로드 받아서 골든티켓 이벤트에 응모하면 됩니다. 골든티켓 골든티켓은 불꽃을 바로 앞에서 즐길 수 있는 자리를 얻을 수 있는 이벤트성 티켓입니다. 좋은 명당을 얻기 위해 눈치싸움없이 지정된 자리에서 편하게 관람이 가능합니다.  이벤트 기간 : 23.9.12(화) ~ 9.25(월) 당첨자 발표 : 9.27 (수) 당첨인원 : 600명 (1인 2매 배포) 1. 회원이 아니라면 일단 가입을 하세요 2. 골든티켓 이벤트에서 '응모하기'를 누릅니다. 이미 제 앞에 50,907명 이 참여를 하셨네요 필수 미...

2023년 이순신의 선택, 한산도 통영한산대첩축제 일정, 행사장, 초대가수 안내

임진왜란의 위대한 승리인 한산대첩을 기념하고자 1962년부터 삼도수군통제영의 본영이 위치한 통영에서 축제로 기념하고 있으며 올해로 62년차 이며 한산대첩을 치룬지 431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민족 영웅인 이순신을 기리고자 하는 축제로 타지역의 어떤 축제보다 규모가 있고 다채로운 행사로 꼭 한번쯤은 가볼만 한 곳입니다. 약 2년간 코로나로 위축되어 있었던 축제가 2023년에는 최대 규모와 최장의 기간으로 관광객을 맞을 예정입니다.     목차 이순신의 선택, 한산도! 2023년 제 62회 통영한산대첩 축제 개요 행사일정 시간표 통영 한산대첩축제 행사장 행사장 위치 주요 축제 행사   1. 이순신의 선택, 한산도! 통영한산도대첩은 1592년 8월 14일(음력 7월 8일)에 조선 수군이 통영 한산도 앞바다에서 왜군을 크게 무찌른 해전입니다. 이 전투는 임진왜란 초기에 조선 수군이 거둔 첫 번째 대승으로, 왜군의 수륙병진을 저지하고 전세를 역전시킨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왜군은 조선의 수도 한양을 향해 진격했습니다. 조선 수군은 왜군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6월 2일 한산도에서 왜군과 해전을 벌였지만 패배했습니다. 이 패배로 조선 수군은 해상권을 잃고 왜군의 공격에 무방비 상태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순신 장군은 왜군의 공격을 막기 위해 새로운 전략을 세웠습니다. 그것은 바로 학익진 전술입니다. 학익진은 학의 날개 모양을 본뜬 진법으로, 왜군을 포위하고 섬멸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전술이었습니다. 8월 14일, 이순신 장군은 한산도 앞바다에서 왜군과 해전을 벌였습니다. 이순신 장군은 학익진 전술을 사용하여 왜군을 포위하고 섬멸했습니다. 이 전투에서 조선 수군은 왜군의 전선을 격파하고 73척의 왜선을 격침시켰습니다. 통영한산도대첩은 임진왜란 초기에 조선 수군이 거둔 첫 번째 대승이었습니다. 이 전투는 왜군의 수륙병진을 저지하고 전세를 역전시킨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통영한산도대첩은 ...